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4

[6월 꽃이야기] 6월 19일 탄생화.. 장미의 꽃말은? 6월 19일 탄생화는 장미입니다.장미의 상징하는 꽃말은 사랑입니다.장미의 색깔에 따른 꽃말은 아래와 같다.● 빨강 : 열렬한 사랑● 흰색 : 순결함, 청순함● 노랑 : 우정과 영원한 사랑자기중심적인 취향으로 애정도 쉽게 식어버리는 타입이군요. 사랑은 참고 기다리는 것입니다.이에 장미 및 장미에 얽힌 이야기에 알아보았습니다.    목차  장미(Rose)에 대하여  장미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장미는 관목성의 화목이다.    장미의 역사야생종은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에 분포한다. 약 100여종이 있다.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야생종의 자연종과 개량종을 말한다.장미는 꽃의 아름다움과 향기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지금까지 2만 5000종이 .. 2021. 6. 19.
6월18일 탄생화 가난한 사람들의 항생제 백리향 꽃말은? 6월 18일 탄생화는 백리향이며, 꽃말은 '용기'입니다.백리향은 '가난한 사람들의 항생제'라고 불린다고 합니다.이지적이고 자존심이 강한 당신.억지로 웃어 주어야만 하는 상대는 그만두고 자연스레 웃을 수 있는 연인을 찾아봅시다.    목차  백리향에 대하여  백리향은 학명은 Thymus quinquecostatus이다.백리향(百里香)은 한국,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서 분포하는 낙엽관목이다.양지바른 바위 밭이나 풀밭, 석회암 지대에서 자란다.드물게는 해안 근처에서도 자란다.줄기는 지표면에 퍼져서 곳곳에 뿌리를 내린다. 가지는 비스듬히 위로 뻗으며, 높이 3~15cm이다. 잎자루는 아주 짧으며, 잎은 마주나고 달걀꼴 또는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길이는 5~10mm이다. 2~3쌍의 깃모양 잎맥이 있고 .. 2021. 6. 18.
6월 17일 탄생화... 토끼풀 꽃말은? 감화, 네잎클로버의 유래 6월 17일 탄생화는 토끼풀의 꽃말은 감화입니다. 6월 17일 토끼풀에 대한 꽃말에 대한 재미난 이야기가 있습니다. 토끼풀의 날에 태어난 당신은 사랑에 아픈 추억을 갖고 있군요. 아픈 추억이 있더라도 굳건히 전진할 때보다 성장할 것입니다. 토끼풀은 누구나에게 네잎클로버 찾기 및 토끼풀 꽃으로 팔찌도 만들고 반지도 만들어 놀던 어릴적 추억이 있을겁니다. 이에 토끼풀에 대한 꽃말 및 네잎클로버 등의 유래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풀, 토끼풀 토끼풀의 꽃말은 감화이며, 토끼풀은 애정, 무용, 기질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토끼풀은 콩과 속씨식물(쌍떡잎)이다. 꽃은 6월~9월에 흰색으로 핀다. 토끼풀의 줄기는 땅으로 기면서 자라며, 줄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토끼풀의 잎은 마디사이에.. 2021. 6. 17.
6월 16일 탄생화... 결혼식 부케꽃 월하향 튜베로즈 꽃말은? 6월 16일 탄생화는 튜베로즈이며, 꽃말은 위험한 쾌락, 위험한관계입니다.6월 16일이 생일인 당신은 위험을 좋아합니다. 자극을 추구하고 즐거운 일에 탐닉하는 타입입니다.튜베로즈는 백합목 수선화과 식물로 꽃이 피는 시기는 8월~10월이다.꽃은 흰색이며 바깥쪽으로 붉은색 띠고 있다.'월하향, 만향옥'으로도 불린다.    목차  튜베로즈(tuberose, 월하향, 만향옥)튜베로즈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튜베로즈의 학명은 Polianthes tuberosa L.이다. 원산지로 멕시코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약 123종이 있다. 꽃은 8월~10월 핀다.튜베로즈 생장 특징튜베로즈는 키는 길이 50~100cm 정도의 춘파 구균식물로 밑에는 덩이줄기가 있다. 괴경은 단단하고 외측은 황갈색, 육.. 2021. 6. 16.
[6월14일 탄생화] 뚜껑별꽃의 꽃말 6월 14일 탄생화는 뚜껑별꽃입니다. 그리고 뚜껑별꽃의 꽃말은 '추상'입니다. 고독을 사랑하고 성실한 당신이지만 사랑에는 너무 조심스럽군요. 오늘 생일을 맞이하신 모든 분들 축하드립니다. 목차 뚜껑별꽃에 대하여 뚜껑별꽃은 한국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 풀입니다. 뚜껑별꽃은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식물로 학명은 Anagallis arvernsis var. caerulea인데, Anagallis라는 어원은 그리스어 ana(기뻐하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그냥 보라별꽃, 별봄맞이꽃이라고도 합니다. 유럽에서는 뚜껑별꽃을 겸손한 길가의 꽃이라는 뜻으로 뚜껑별꽃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뚜껑별꽃의 특징 뚜껑별꽃의 크기는 10~30cm까지 자라며 줄기는 옆으로 뻗어 섭니다. 뚜껑별.. 2021.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