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4

[3월 꽃이야기] 3월 7일 탄생화 황새냉이(Bittercress) 꽃말은? 사무치는 그리움 황새냉이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좌과의 두해살이풀로 논과 밭, 습지에 자란다.꽃은 백색으로 4월~5월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핀다.황새냉이의 꽃말은 '사무치는 그리움'이다.    목차  황새냉이에 대하여  황새냉이의 학명은 Cardamine flexuosa With.이다.황새냉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휴경지 논, 습기가 있는 밭, 습지의 언저리, 도랑 등의 양지에 자란다. 황새냉이는 농촌형 터주식생으로 휴경지 논에 잡초로 군락 한다. 또한 냉온대에서 난온대 지역으로 중국, 만주, 대만, 일본, 동남아, 사할린, 히말라야, 남미, 북미, 유럽 등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다.황새냉이는 맛이 달고 매우며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건강식품입니다. 간, 위, 비장에 건강에 좋은 식품입니다.황새냉이의 효능에는 .. 2024. 8. 15.
[8월 꽃이야기] 8월 11일 탄생화 빨강무늬제라늄 꽃말은? 위안 입추가 지남에도 무더위가 물러날 기미가 보이질 않습니다.무더위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8월 11일의 탄생화는 빨강무늬제라늄인데요. 제라늄은 우리 근처에서 가장 많이 가꾸고 있는 화초가 아닐까 싶습니다.우리 집에도 몇년전부터 제라늄은 키우고 있는데요. 크게 신경쓰기 않아도 일년내내 꽃이 피우기는 화초로 참 고마운 화초입니다.빨강무늬제라늄의 꽃말은 '위안'입니다.모든 분들에게 위안이 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빨강무늬제라늄에 대한 이야기  빨강무늬제라늄은 제라늄 꽃 색의 하나로 제라늄중 가장 흔히 볼 수 있습니다.저희 집에서도 제라늄을 키우고 있는데요. 저희 집에는 분홍색, 빨강색 제라늄이 있습니다.제라늄은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이며 키는 .. 2024. 8. 11.
[8월 꽃이야기] 8월 5일 탄생화 에리카 꽃말은? 고독, 행운 8월 둘째 주가 되었습니다. 내일모레면 입추가 다가옵니다. 그럼에도 예년에 비해 무더위가 심한 것 같습니다. 건강 잃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8월 5일의 탄생화는 에리카는입니다. 에리카는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진달래과에 속하는 식물로 연보라색 꽃이 기분을 좋게 해 주며, 꿀벌에게 꿀을 제공해 줍니다.에리카의 꽃말은 '고독, 애수,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입니다. 당신은 자신에게 엄격한 사람입니다. 좀 더 자유를 누리시면 좋겠습니다.    목차  에리카(Erica cinerea)  에리카의 학명은 Erica cinerea L.로 원예식물로 키우는 식물로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 에리카속의 모든 식물을 말한다. 꽃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따라서 공공기관 정원이나 화단에 많이 심고 있다. 원.. 2024. 8. 5.
[3월 꽃이야기] 3월 6월 탄생화 데이지 꽃말은? 순수한 마음 3월 6일은 한창 봄이 시작되는 날이며, 각급 학생들은 새 학기가 시작되어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며 새로운 다짐을 하게 되죠. 봄은 시작되었지만 아직은 날씨가 쌀쌀하여 감기에 걸리기 쉽기도 합니다.오늘 3월 6일의 탄생화는 데이지로 꽃말은 '순수한 마음'입니다.이에 3월 6일 탄생화인 데이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목차  데이지에 대한 추억  예전 중학교 다닐때 가정, 가사 시간이 있었다. 가정시간에는 이론 수업을 가사 시간에는 주로 실습을 하는 시간이었다. 가사 시간에 요리시간, 뜨개질, 수놓기 등을 하였다. 그중 수놓기 시간에 데이지 꽃을 수놓곤 했다.데이지는 그처럼 꽃이 아름답고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그 당시에는 데이지꽃을 수놓아서.. 2024. 8. 2.
8월(August) 탄생석 페리도트(peridot, 감람석), 8월 탄생화 날짜별 정리 8월(八月, August)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다. 8월 15일은 광복절로 한국의 국경일로 공휴일이며, 8월 22일은 에너지의 날이다. 24 절기에는 입추(8월 7일 또는 8월 8일), 처서(8월 22일 또는 8월 23일)가 있다. 입추와 처서 사이에 삼복중 하나인 말복이 자리하고 있다. 한국 고유 명절의 하나인 칠석(음력 7월 7일)이 8월 중에 있다.그리고 8월의 탄생석은 페리도트이다.이에 8월의 탄생석 및 탄생화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8월 탄생석 페리도트(peridot, 감람석)  8월이 되었습니다.밖에서는 쏴아.. 쏴아.. 매미 소리가 요란하게 들리고 있습니다.숫자 8의 의미는 인내, 의존성, 권력, 권위, 실용성, 좋은 판단력, 야망 사업, 성공, 부와 풍요, 책임감.. 2024. 8. 1.
[7월 꽃이야기] 7월 28일 탄생화 석죽화 패랭이꽃(China pink) 꽃말은? 패랭이이꽃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꽃중의 하나입니다.패랭이꽃은 석죽화(石竹花), 대란(大蘭), 산구맥(山瞿麥)라고도 하며, 꽃말은 '언제나 사랑해'입니다.패랭이꽃은 꽃말도 참 맘에 든다. 패랭이꽃은 화려하지 않고 수수수함이 느껴져서 참 좋다.이에 7월 28일 탄생화 패랭이꽃의 여러가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패랭이꽃에 대하여  패랭이꽃(China pink)은 영어이름이 독특하다.China Pink..이름에서 보듯 패랭이꽃은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냇가 모래땅이나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에 자생하는 야생화이다. 그런데 패랭이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일까? 집에서 재배하는 사람들도 종종 볼 수 있고 꽃집에서도 자주 보이는 꽃중의 하나이다.패랭이꽃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 2024. 7. 28.
3월 5일 탄생화 수레국화(cornflower) 꽃말과 전설 정리 수레국화는 유럽 동부, 남부가 원산지인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입니다.꽃은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핍니다. 온실에서 키울 경우 봄에도 꽃이 핍니다.수레국화의 꽃말은 '찬란히 빛나는 정열'입니다.    목차  수레국화란?  ● 학명 : Centaurea cyanus L.수레국화는 유럽 동부, 남부가 원산지로 꽃의 색이 다양하여 관상용으로 많이 길러집니다. 야생에서 키울 때는 여름에서 가을까지 꽃이 피고 온실에서는 봄에도 꽃이 핍니다.수레국화의 줄기는 회녹색이며, 잎은 1~4cm로 피침형이다.꽃은 전체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가장자리가 크기 때문에 설상화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가장자리는 파란색으로 보인다.수레국화는 여름내내 꽃이 피는데, 꽃의 색은 빨간색, 분홍색, 노란색.. 2024. 7. 26.
3월 4일 탄생화 나무딸기 라즈베리(Raspberry) 꽃말은? 3월 4일 탄생화는 나무딸기이며, 꽃말은 '애정, 우애, 우정, 존중'입니다.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딸기는 strawberry, garden strawberry라고 합니다. 즉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고 있고 사계절 내내 먹을 수 있는 딸기는 정원딸기라고 하며 18세기말 프랑스 브르타뉴반도에서 최조로 경작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그에 반해 나무딸기는 산딸기, 복분자 등이 있으며, 대부분은 야생에서 자생하는 딸기를 말합니다.이에 3월 4일 탄생화 나무딸기인 산딸기 및 복분자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나무딸기의 종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무딸기의 종류는 크게 산딸기와 복분자로 나뉜다.이에 산딸기와 복분자의 차이점 및 효능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산딸기에 대하여어릴적 산골마을에.. 2024. 7. 23.
3월 3일 탄생화 들꽃 자운영 꽃말, 자운영에 얽힌 슬픈 전설 3월 3일 탄생화인 자운영의 꽃말은 '나의 행복, 감화, 그대의 관대한 사랑'입니다.자운영은 '연화초, 홍화채, 쇄미제, 야화생'이라고도 불리는 꽃으로 4월~5월에 홍색빛을 띤 자주색 꽃이 핀다. 자운영은 뿌리혹이 잘 발달된 질소동화작용이 활발한 식물로 거름으로 많이 사용되며 꽃이 피는 시기에 베어 사료를 만드는데도 이용되는 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 각지에서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    목차  자운영에 대하여  ● 자운영 학명 : Astragalus sinicus자운영은 속씨식물 장미군 콩목 콩과 황기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원산지는 중국으로 우리나라 귀화식물 보는 이도 있고 우리나라 토착식물로 보기도 한다.자운영의 다른 이름으로는 '연화초(蓮花草), 홍화채(紅花菜), 쇄.. 2024. 7. 21.
7월 18일 탄생화 이끼장미 채송화 꽃말 및 채송화 전설 7월 18일 탄생화는 이끼 장미입니다.그런데 이끼 장미는 생소한 단어이죠. 그런데 이끼장미는 채송화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네요.그리고 이끼 장미 채송화의 꽃말은 '가련'입니다.이에 이끼장미 채송화에 대한 특징 및 각가지 채송화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이끼장미 채송화에 대하여  ● 채송화 학명 : Portulaca grandiflora채송화는 속씨식물 석죽목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어릴 적 초등학교 화단에는 해마다 채송화를 심고 했었습니다. 봄이 되면 채송화뿐 아니라 해바라기 달리아 등 갖가지 씨앗을 학교 화단에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심었습니다.지금은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일을 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선생님과 함께 학생들이 화단을 가꾸고 풀도 뽑고 학교 운동.. 2024. 7. 18.
반응형